친환경에너지,신재생에너지,태양열에너지,re100,수력발전,지열발전,재활용에너지

친환경에너지 뉴스

90001c024e688563289c789d40e75191_1725339358_8693.png


2025.03.14 16:05

"석탄, 13년 만에 비상 에너지 관리 대상에서 제외… 수요 감소 반영"

  • 최고관리자 5일 전 2025.03.14 16:05
  • 9
    0

정부,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 개정… 석탄 제외, 열 관리대상 추가

정부가 에너지 수급 위기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수립하는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에서 석탄을 13년 만에 관리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는 석탄 수요 감소에 따른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14일 제35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이 내용을 포함한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

 

hhhhhh.jpg

 

그간 정부는 에너지법에 따라 석유, 가스, 전기 등 주요 에너지원의 수급 차질에 대비해 비상 계획을 마련해왔다. 이번 개정은 에너지믹스 변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 이상기후 상시화 등 최근 수급 환경 변화를 반영해 시나리오별 대응 매뉴얼을 강화한 것이다. 주요 변화로, 석탄 수요 감소와 열 수요 증가에 맞춰 관리 대상을 기존 ‘전력·원유·가스·석탄’에서 ‘전력·원유·가스·열’로 재편했다. 또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 계통 변동성을 고려해 전력 위기 관리를 ‘수급’ 중심에서 ‘수급·계통’으로 세분화했다.

 

동시에 2개 이상 에너지원의 수급 위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상황 심각도에 따라 ‘에너지 종합 비상수급대책본부’ 또는 ‘에너지 종합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며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가스·전기 안전관리 계획도 함께 수립

이날 위원회에서는 5년 주기로 수립되는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도 논의됐다. 가스는 취사·난방부터 산업·발전까지 폭넓게 사용되지만, 가연성과 폭발성으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번 계획은 수소경제 확장에 대비해 수소 신기술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 노후 가스시설 증가에 대응해 I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상시 안전관리 체계를 도입하고, 민간 주도의 자율적 안전관리 강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AI 산업 성장으로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시설이 늘면서 전기 안전을 위한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도 처음으로 수립됐다. 이 계획은 다중이용시설, 산업단지, 사회적 배려층 등 전기안전 취약 분야에 맞춤형 관리와 현장 중심의 유연한 안전체계를 강화하며, 첨단기술 기반의 안전 혁신을 추진한다. 아울러 민간 주도의 전기안전 기반 조성을 통해 관련 산업 육성도 지원한다.

 

“변화하는 에너지 여건에 신속 대응”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에너지 수급 여건이 급변함에 따라 13년 만에 비상 계획을 정비했다”며 “이 계획은 수급 위기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으로,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news1.kr/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