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 뉴스

90001c024e688563289c789d40e75191_1725339358_8693.png


2025.07.22 14:20

국민 10명 중 9명 “재생에너지 전환 시급…공공이 주도해야”

  • 친환경에너지연합 오래 전 2025.07.22 14:20
  • 21
    0

국민 대다수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이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태양과 바람처럼 모두의 자원은 민간이 아닌 공공이 주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321649_220161_562.png

 

시민환경단체 녹색연합이 7월 20일 발표한 ‘기후위기 대응 정책 및 재생에너지 공공성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7%가 재생에너지 전환이 시급하다고 답했다. 이들은 태양광,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의 빠른 전환이 온실가스 감축에 핵심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또한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의 수익 중 일부(약 20%)를 공익 목적으로 환수해야 한다는 의견도 79%에 달했다. 많은 국민이 재생에너지로 얻은 이익이 사회 전체를 위한 방향으로 사용되길 바라고 있는 것이다.

재생에너지 공급 주체에 대한 질문에는 78%가 공공이 우선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는 ‘전력공급은 국민 기본권과 직결된 공공서비스’라는 점을 꼽은 응답자가 65.6%에 달했다.

재생에너지 정책에서 중요하게 여겨야 할 가치로는

  • 적정한 전기요금(69.5%)

  • 전력공급의 안정성(65.6%)

  • 환경문제 대응과 기후위기 해결(58%)

  • 에너지 안보(52.2%)
    등이 꼽혔다. 이외에도 에너지 민주주의, 정의로운 전환, 이익 공유 등이 뒤를 이었다.

재생에너지 사업의 적절한 운영 주체로는 82.2%가 ‘중앙 및 지방정부, 공기업’을 지목했다. 특히 중앙정부 및 공기업을 택한 비율이 66.7%로 가장 높았다.

한국 정부가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의 권고 수준을 넘는 보다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워야 한다는 데에는 89.6%가 동의했다.
이유로는

  • 이미 기후위기 피해가 본격화되고 있어 즉각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75.9%,

  • 대응이 늦어질수록 사회적·경제적 비용이 커진다는 답변이 48%,

  • 선진국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의견이 36%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추진 중인 해상풍력사업 88건 중 48건이 외국 기업 주도라는 사실에 대해 53.3%는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우려 이유로는

  • 에너지 안보 위협(60.9%)

  • 국내 산업 기반 약화(52%)

  • 수익의 해외 유출(51.3%) 등이 있었다.

이번 조사는 7월 4일부터 9일까지 전국 14세~69세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한국갤럽이 실시했으며, 신뢰수준 95%, 표본오차는 ±2.53%p다.

출처 : 이투뉴스(http://www.e2news.com)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