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 뉴스

90001c024e688563289c789d40e75191_1725339358_8693.png


  • 전체 214건 / 1 페이지
    • 오래 전
      2024.10.09
  • 오래 전
  • <기타> 신재생 에너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해결책
  •   신재생 에너지는 자연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화석 연료와 달리 고갈되지 않으며,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신재생 에너지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그 중 주요한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태양광 에너지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의 빛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태양광 패널을 사용하여 가정이나 상업용 건물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은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2. 풍력 에너지 풍력 에너지는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합니다. 풍력 터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는 대규모 풍력 발전소에서 운영되며 청정 에너지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3. 수력 에너지 수력 에너지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댐이나 강을 이용하여 큰 규모로 발전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4. 지열 에너지 지열 에너지는 지구 내부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난방에 활용됩니다. 이 기술은 특히 화산 지역이나 지열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효과적입니다. 5. 바이오매스 에너지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유기물에서 얻는 에너지로, 나무, 식물 및 폐기물 등을 연료로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재활용 가능성과 함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신재생 에너지의 장점 환경 보호: 신재생 에너지는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여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지속 가능성: 고갈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입니다. 경제적 이점: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결론 신재생 에너지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을 보호하며,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 친환경에너지연합
    • 인기 공지
    • 170
      df04ebab-4209-46c0-abde-98141e4ff28e.webp
    • 오래 전
      2024.10.09
  • 오래 전
  • <기타> 환경을 위한 대체 에너지 개발
  •   현대 사회는 화석 연료 의존도가 높아 지구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체 에너지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대체 에너지는 전통적인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환경 보호와 에너지 자원의 다양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1. 대체 에너지의 종류 태양광 에너지: 태양광 발전은 태양의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로,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에너지원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대체 에너지 중 하나입니다. 풍력 에너지: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특히 바람이 강한 해안 지역에서 효율적입니다. 풍력 발전소는 탄소 배출이 없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원이 됩니다. 수력 에너지: 댐이나 강의 흐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발전소에서 사용됩니다. 수력 발전은 안정적인 에너지원이지만, 환경 파괴 문제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지열 에너지: 지구 내부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난방하는 방법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에너지: 식물이나 동물의 유기물을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자원 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2. 대체 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대체 에너지의 개발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대체 에너지는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결론 대체 에너지 개발은 환경 보호와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길입니다. 정부와 기업, 개인이 함께 노력하여 대체 에너지의 연구 및 개발에 투자하고, 이를 통해 보다 깨끗하고 건강한 지구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 친환경에너지연합
    • 인기 공지
    • 149
      590f7755-53a7-45d2-80a1-c96d24e3a77f.webp
    • 오래 전
      2024.10.09
  • 오래 전
  • <기타> 친환경 에너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선택
  •   친환경 에너지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자원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지속 가능성이 높은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에너지원은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며,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음은 주요 친환경 에너지의 종류입니다. 1. 태양광 에너지 (Solar Energy) 태양광 에너지는 태양의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로, 태양광 패널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 방식은 설치가 간편하고, 에너지원이 풍부하며, 유지비용이 낮습니다. 2. 풍력 에너지 (Wind Energy) 풍력 에너지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풍력 터빈이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합니다. 특히 해안가나 고지대에서 효과적입니다. 3. 수력 에너지 (Hydropower) 수력 에너지는 흐르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댐을 건설하여 물을 저장하고,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압력을 이용해 터빈을 회전시킵니다. 이는 매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원입니다. 4. 지열 에너지 (Geothermal Energy) 지열 에너지는 지구 내부의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이 에너지는 지열 발전소를 통해 전기로 변환되며, 온수와 난방에도 사용됩니다. 5. 바이오매스 에너지 (Biomass Energy)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유기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식물, 동물의 분뇨, 폐기물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합니다. 이는 재활용 가능성이 높고,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친환경 에너지의 중요성 친환경 에너지는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에너지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독립성을 높이며, 경제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친환경에너지연합
    • 인기 공지
    • 138
      591c8ed7-2572-4148-b155-99e0c4b48049.webp
    • 211
    • 2일 전
      2025.07.01
  • 2일 전
  • 재생에너지, 미래 산업의 쌀이 되다
  • 전남, 해상풍력과 AI 융합의 중심으로 도약 전라남도가 해상풍력 발전 분야에서 또 한 번 도약을 이뤘다. 지난 6월 27일,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 심의를 통해 2.6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추가로 획득하며, 도내 총 허가량이 21.3GW에 이르렀다. 이는 전국 해상풍력 발전 허가량(34.8GW)의 61%에 해당하며, 전남이 해상풍력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신안과 여수를 잇는 해상풍력 프로젝트 이번에 허가받은 발전사업은 신안 지역 6곳(블루자은, 블루임자, 블루신의, 블루비금1·2, 케이윈드파워)과 여수 이순신1을 포함한 총 7곳으로 구성됐다. 특히 3.2GW 규모의 집적화 단지 일부도 포함되어 전남의 집적화 전략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남의 비전: AI 시대 에너지 중심지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AI 시대 재생에너지는 산업의 핵심”이라며, 전남이 에너지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지역 내 전력 생산과 소비를 연계하는 '지산지소(地産地消)' 구조와 에너지 기본소득 확대를 통해 도민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AI 국가전략산업 속에서 전남은 재생에너지 기반 초대규모 AI 인프라의 운영 중심지 역할을 맡을 수 있다. 현재 해남에서는 AI 슈퍼컴퓨팅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추진 중이며,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다. 전남의 해상풍력 전력원은 AI 시대를 뒷받침하는 ‘동맥’ 역할을 할 것이다.   전남의 도전과 준비 에너지 자립과 AI 중심지 도약을 위해 전남이 준비해야 할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송전망 및 전력계통 확충
    전력 인프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전에 의존하지 않고 도 차원의 송배전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 제주 사례처럼 계통 연계 지연을 방지해야 한다. 현지 제조·기자재 산업 육성
    풍력기자재 생산, 유통, 정비 등 관련 산업을 지역에 뿌리내려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산업단지로 발전시켜야 한다. 전력의 지역 소비체계 정착
    에너지 기본소득을 통해 지역 주민의 수용성을 높이고, 주택 전기요금 할인, 주민 전용 전력공급 등의 실효성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AI-에너지 융합 기반 인재 육성
    도내 대학과 교육기관을 통해 고급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 집약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아야 한다. 지역 주도의 정책 거버넌스 확립
    중앙정부 주도 모델에서 벗어나 전남도 자체의 법적·제도적 권한을 강화하고, 지방정부 중심의 규제 완화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   실행력으로 증명할 때 전남의 해상풍력 비전은 명확하지만, 현재는 전력 생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제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소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과 복지로 연결하는 실행력 있는 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 전남이 AI 시대의 중심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단순히 많은 전력을 생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전력을 어디에, 어떻게, 누구와 함께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전략이 필요하다. 이는 전남이 국가적·세계적 에너지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4
      200244_200241_019.jpg
    • 210
    • 3일 전
      2025.06.30
  • 3일 전
  • "전기화 속도 내지만, 에너지 소비·탄소배출 최고치 경신"
  • 에너지 전환의 명암: 재생에너지 최대치 기록 속 CO₂ 배출 최고치 경신 전 세계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에너지 수요 증가와 함께 화석연료 소비가 늘어나며 에너지 부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에너지연구소(Energy Institute)가 컨설팅 기업 커니(Kearney)와 KPMG와 함께 발표한 '세계 에너지 통계 리뷰(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24'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1차 에너지 소비량은 전년 대비 2% 증가한 592엑사줄(EJ)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기화 시대의 본격적인 도래를 알리는 신호로 분석된다.       모든 에너지 소비 증가… 전기화 시대의 시작 보고서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뿐 아니라 원자력, 수력, 재생에너지 등 모든 에너지 소비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전력 수요는 전년 대비 4% 증가해 전체 에너지 소비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재생에너지는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풍력과 태양광은 16% 증가하며 에너지 수요 증가 속도의 8배에 달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중국은 글로벌 신규 재생에너지 설비의 57%를 차지하며 태양광 설비 용량을 2년 만에 두 배로 확대하는 등 성장을 이끌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화석연료 소비도 1% 이상 증가했다. 천연가스 소비는 2.5%, 석탄은 1.2% 증가하며 석탄은 여전히 세계 최대 전력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CO₂ 배출 증가와 전환의 딜레마 2024년 에너지 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1% 증가한 408억 톤(CO₂eq)을 기록하며 4년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이 1.5도를 넘어선 상황에서, 에너지 전환 지연은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에너지연구소의 앤디 브라운 회장은 “에너지 전환은 진행 중이지만, 수요 증가의 60%를 여전히 화석연료가 충족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배출량이 줄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커니의 로맹 드바르 박사는 “지정학적 갈등, 에너지 안보, 기술 주권 등이 기후 목표보다 우선시되면서 전환이 혼란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천이 필요한 시점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를 주도하는 중국은 동시에 석탄과 석유, 가스 소비를 병행하며 글로벌 에너지 소비 패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KPMG의 와파 자프리 파트너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3배 확대하겠다는 COP28 목표는 진전되고 있으나, 속도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에너지연구소는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약 2만 명의 개인 회원과 200여 개 기업 회원이 활동 중이다.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가속화를 위한 실질적 행동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 기관의 역할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출처 : IMPACT ON(임팩트온)(http://www.impacton.net)
    • 친환경에너지연합
    • 4
      15588_26730_745.jpg
    • 209
    • 6일 전
      2025.06.27
  • 6일 전
  • 공공기관 에너지 절감 노력 본격화: 여름철 전력 피크 대응과 그린버튼 개선
  • 정부가 올여름 에너지 수요 관리와 전력 피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감 방안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전력량 모니터링 시스템인 **'그린버튼'**을 개편하고, 에너지 절감 캠페인을 추진 중이다.     전국 1008개 공공기관 대상 설명회 개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은 2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전국 공공기관 관계자 1,008명을 초청해 **‘여름철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방안 및 그린버튼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되어 참여도를 높였다. 설명회에서는 7월 14일부터 9월 19일까지 이어지는 전력수급 대책 기간, 특히 8월 2주 차 예상 전력 피크를 대비한 에너지 수요관리 강화 방안이 발표되었다.   '그린버튼' 주요 기능과 개편 사항 소개 ‘그린버튼’은 공공기관이 전력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이다. 지난 3월 일반 국민에게도 공개된 후 사용자 친화적 디자인과 소통 창구 마련, 다양한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접근성을 대폭 개선했다. 올 하반기에는 기상정보와 연계한 냉난방 전력 소비 예측, 냉난방 민감도 분석 서비스 등 고도화된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에너지 절감 추진 방안 산업부는 공공기관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에너지 절감 방안을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평상시 실내 온도 26℃ 유지 7월 3주~8월 3주 기간 중 기준예비력이 11.1GW 이하로 예상되면, 지역별 냉방기 순차 운휴를 시행한다. 전력 피크 시간대인 오후 4시 30분부터 5시 30분까지 1시간 동안 지역별로 냉방기를 30분씩 운영 중단. 전력 위기 시 온도 상향 조정 예비전력이 5.5GW 미만일 경우 실내 온도를 26℃에서 28℃로 상향해 에너지 절감을 강화한다.   공공기관 평가 지표 개선 산업부는 자율적 에너지 절감을 장려하기 위해 공공기관 경영평가 지표도 개선한다. 기존의 에너지 사용량 절감 실적에 더해, 동·하절기 온라인 점검 참여율 및 에너지 절약 추진위원회 운영 실적을 추가 평가 요소로 검토 중이다.   미래지향적 에너지 정책 산업부 관계자는 “그린버튼 데이터를 통해 각 기관이 자율적이고 투명한 에너지 절감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자발적 참여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린버튼은 공공기관뿐 아니라 국민이 에너지 절감에 적극 동참하도록 돕는 핵심 플랫폼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기능 확장이 기대된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실 에너지효율과(044-203-5146)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8
      PYH2025052507500001300.jpg
    • 208
    • 8일 전
      2025.06.25
  • 8일 전
  • 재생에너지 혁신…미래를 밝히는 에너지 전환
  • 탄소중립으로 향하는 K-에너지 혁신 전 세계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환에 박차를 가하면서, 관련 산업 역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이재명 정부는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재생에너지를 대한민국 산업의 미래 핵심으로 삼는 전략을 내세웠다.     국정기획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에너지 분야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라는 대규모 송전망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호남 지역의 해상풍력과 태양광으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으로 송전해, 산업 전반의 친환경 체제 전환과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 사업은 당초 2036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이재명 정부는 2030년까지 1단계 구간을 조기 완공하겠다는 계획으로 정책 속도를 더욱 끌어올렸다. 이를 통해 수도권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첨단산업 기반 구축을 앞당기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한국형 에너지 혁신의 주축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는 호남에서 수도권까지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을 대용량 송전하는 국가 프로젝트다. 신해남태안서인천 구간(403km)과 새만금태안영흥 구간(190km)으로 나뉘며, 사업비는 약 11조 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동해안으로의 추가 연장을 위해 약 10조 원이 더 투입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기존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형 전원 체계로의 전환을 이끌어낼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하는 첨단산업의 전력 수요를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지원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산업의 성장과 기대 효과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프로젝트는 재생에너지, HVDC 케이블, 변환설비 등 다양한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전망이다. 특히 LS전선과 대한전선 등 국내 전선업체들이 주요 수혜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LS전선은 해저 및 지중 HVDC 케이블 시공 경험과 독자적인 포설선을 보유해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대한전선도 HVDC 케이블 기술을 기반으로 일부 구간 수주 경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재생에너지 업계에서도 활기가 돌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대형 해상풍력 발전기 제작을, SK에코플랜트는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소와의 PPA 체결을 통해 RE100 산업단지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작 경험을 살려 국내 수주 역량을 확대 중이다.   성공의 열쇠: 제도적 뒷받침 이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려면 행정 절차 간소화와 사업 착공 시점 조정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행정 절차가 제때 이루어져야 기업의 투자와 에너지 인프라 구축이 맞물려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는 탄소중립 실현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자, 대한민국의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상징적 사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출처 : 매일일보(http://www.m-i.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9
      1251527_1028448_639.jpg
    • 207
    • 12일 전
      2025.06.21
  • 12일 전
  • 한수원-세르비아, 원자력·수소 협력 본격화…동유럽 시장 공략 속도
  • 한수원, 세르비아와 원자력 및 수소 협력 강화…중동유럽 시장 공략 박차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세르비아와의 협력을 통해 중앙·동유럽 원자력 및 수소 에너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발칸그린에너지뉴스는 20일(현지시각) 세르비아 에너지 고위급 관계자들이 한수원 본사와 수소 전주기 연구센터를 방문해 한국의 기술력과 안전성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세르비아는 1989년 원자력 금지 조치를 해제한 이후 원전 도입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라도시 포파디치 세르비아 광업 및 에너지 차관은 “한수원과 원자력 및 수소 분야의 지식·경험 교환 계약이 곧 체결될 것”이라며, “수소는 세르비아의 안정적이고 저탄소 미래를 위한 핵심 에너지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한국전력공사가 주도한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 건설 사례를 언급하며 한수원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 평가했다.   세르비아, 원전 도입 및 신기술 적극 검토 세르비아는 지난해 11월 에너지법을 개정해 1989년부터 시행된 원전 건설 금지 조치를 폐지했다. 이후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비롯한 첨단 기술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며, 프랑스, 슬로베니아, 중국 등과 협력 옵션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에 한수원과 논의한 협력 분야도 SMR 및 수소 에너지로, 세르비아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 계획과 맞닿아 있다.   세르비아 주요 에너지 관계자 10여 명은 한수원 중앙연구원 수소 전주기 연구센터를 방문해 한수원의 수소 실증설비를 체험했다. 수소 생산, 저장, 운송, 활용을 아우르는 이 시설은 청정에너지 전환을 준비 중인 국가들에게 적합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한수원 수소융복합처 공영곤 처장은 “이번 방문이 세르비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한수원의 수소 실증 사업모델을 수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세르비아의 에너지 전환 계획과 한수원의 역할 세르비아는 석탄화력발전소의 높은 비중을 줄이고 2030년까지 전력 소비의 45%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원자력 에너지와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한수원과의 협력은 이러한 전환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이 2022년에 구축한 수소 전주기 연구센터는 메가와트(MW)급 수소 실증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간당 최대 2.7kg의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재생전력을 모사하는 설비를 통해 다양한 수소 생산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원자력, 중앙·동유럽 에너지 시장의 핵심 대안으로 부상 중앙·동유럽 지역에서는 전력 수요 증가와 재생에너지의 기상 의존성 문제로 인해 원자력이 중요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센터 및 AI 기반 인프라 확대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원자력은 가격 경쟁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수원은 세르비아와의 협력을 통해 원자력과 수소를 포함한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하며, 중앙·동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한수원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세르비아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https://www.g-enews.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9
      restmb_allidxmake.jpg
    • 206
    • 14일 전
      2025.06.19
  • 14일 전
  • 민간 공동주택에 '제로에너지건축물(ZEB)' 5등급 에너지 기준 적용
  • 오는 30일부터 민간이 신축하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도 한층 강화된 에너지 기준이 적용된다.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중립 실현을 가속화하기 위해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을 개정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민간 공동주택에 ZEB 5등급 수준의 에너지 성능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이는 공공부문에서 이미 시행 중인 ZEB 5등급 인증 기준(90㎾h/㎡yr 미만)과 비슷한 수준으로, 민간 주택에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강화된 에너지 기준에 따라 공동주택은 세대당 연간 약 22만 원의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추가 공사비는 5~6년 내에 회수 가능하며, 장기적으로는 입주민의 관리비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강화된 에너지 성능 기준 민간사업자는 ZEB 5등급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에너지 성능 기준 또는 시방 기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성능 기준: 기존 120㎾h/㎡yr 미만에서 100㎾h/㎡yr 미만으로 16.7% 강화. 시방 기준: 성능 기준과 유사한 절감 효과를 목표로 항목별 기준 상향.   주요 변경 사항 창호 및 강재문 성능: 창의 단열재 등급: 기존 2등급 → 1등급 강재문의 기밀성능 등급: 기존 2등급 → 1등급 조명밀도 감소: 단위면적당 조명밀도 8W/㎡ 이하 → 6W/㎡ 이하. 신재생에너지 설계점수: 기존 25점 → 50점으로 상향. 환기용 전열교환기 설치: 의무화.   국가적 탄소중립 노력과 R&D 지속 김헌정 국토부 주택정책관은 “민간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 향상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며, “입주자의 에너지 비용 절감을 위해 제로에너지 기술 개발과 규제 부담 완화 방안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국가 R&D를 통해 관련 기술 개발을 이어가는 동시에 소규모 단지 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운영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자세한 문의는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 주택건설공급과(044-201-3373)로 하면 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8
      07_00.jpg
    • 205
    • 18일 전
      2025.06.16
  • 18일 전
  • "전기차 충전 선도 기업, 채비의 독보적 행보"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전문 기업인 채비(대표 최영훈)가 전기차 충전 시장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입증하며 업계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채비는 2025년 환경부의 전기자동차 급속·완속충전시설 보조사업 수행기관으로 8년 연속 선정되며 신뢰받는 파트너로 인정받았다. 이는 전기차 충전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적 실행을 지원하는 데 있어 채비의 전국적 설치 역량과 검증된 운영 품질이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채비는 오랜 기간 축적한 기술력과 풍부한 실적을 바탕으로 수요 맞춤형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며 국내 전기차 충전 시장을 이끌고 있다. 현재 약 1만 개의 급속 충전소를 운영·관리하고 있으며, 환경부 공공 충전 물량의 약 60%를 납품해 국내 급속 충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최근 2년간 전기차 수요 증가가 주춤하는 ‘케이즘’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채비는 약 4000개의 급속 충전소를 추가로 구축했으며, 2024년 국내 신규 급속 충전기의 32%를 제조·설치(직영 22% 포함)하며 인프라 확충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최영훈 채비 대표이사는 “환경부 보조사업 수행기관으로 8년 연속 선정된 것은 채비의 기술 혁신과 서비스 품질 개선이 이룬 성과”라며 “앞으로도 신뢰성 높은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며 국내 시장에서의 선도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채비는 올해 4월 서울시 전기버스 급속충전시설 보급 및 관리 사업자로 선정되며 공공 충전 인프라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공용 차고지를 중심으로 전문팀이 현장 분석과 맞춤형 설계를 진행하며 서울시의 무공해차 전환 목표 달성을 돕고 있다.   출처 : 에너지데일리(http://www.energydaily.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10
      156950_109943_3748.jpg
    • 204
    • 20일 전
      2025.06.13
  • 20일 전
  • 서울에너지공사, 국내 최초 태양광 신기술 실증단지로 글로벌 ESG 협력 선도
  • 서울에너지공사(사장 황보연)가 양천구 본사에 조성한 국내 최초 태양광 신기술 실증단지가 혁신적인 태양광 기술협력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곳은 단순히 기술 개발을 넘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협력의 핵심 거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신기술의 집약체, 실증단지의 역할 서울에너지공사의 태양광 실증단지에는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건물일체형 태양광), CIGS 박막 컬러 태양전지, 고효율 컬러 BIPV 모듈, 태양광 루버, 기와형 태양광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됐다. 이 프로젝트에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다스코 △에스지에너지 △아반시스코리아 등 16개 기업이 참여하여 신기술을 설치 및 실증하는 기회를 가졌다. 전체 용량 130kW에 달하는 이 실증단지에서 매년 약 100MWh의 전력을 생산하며, 이는 47 tCO2eq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가져온다. 생산된 전력은 본사 건물 내에서 자가소비용으로 활용되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글로벌 기술 교류의 장으로 실증단지는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태양광 신기술과 재생에너지 전환 가능성을 알리는 역할도 하고 있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2년 동안 EU, 베트남, 일본 등 30여 개국에서 730여 명의 전문가와 경영진이 방문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친환경 및 저탄소 기술 분야 관계자들이 참여한 ‘EU Business Hub’ 프로그램은 서울에너지공사의 기술력을 글로벌 무대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지속 가능한 성과 창출과 ESG 연계 서울에너지공사는 실증단지를 단순 기술 실험의 장이 아닌, 상용화를 목표로 한 통합 플랫폼으로 운영하고 있다. 참여 기업들은 실증 종료 후 성능확인서를 발급받아 제품 상용화 및 판로 확장에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우수 사례 발굴, 기술 피드백 제공, 추가 실증 연계 등 후속 지원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개방형 ESG 테스트베드’로의 확장 서울에너지공사는 이 성과를 기반으로 제2의 실증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개방형 ESG 테스트베드 실증사업’을 통해 에너지 분야 혁신 기술을 더욱 체계적으로 실증하고, 탄소 저감과 친환경 서비스 등 ESG 목표와 연계된 혁신적인 방안을 검증할 계획이다. 황보연 사장은 “서울에너지공사는 혁신기술의 실증을 넘어 실제 도시 현장에서의 적용까지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만들고 있다”며, “국내 기업과 함께 글로벌 녹색 전환을 주도하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에너지공사의 실증단지는 기술, 환경, 사회적 가치를 아우르는 새로운 혁신의 장으로,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친환경 경영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출처 : 인더스트리뉴스(http://www.industr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12
      65654_75270_1936.png
    • 203
    • 21일 전
      2025.06.12
  • 21일 전
  • 2025 IEVE Innovation Award, 미래 모빌리티 기술 선도 기업 12곳 선정
  • 전기자동차 및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할 12개 유망 기술 기업이 ‘2025 IEVE Innovation Award’ 기술혁신상 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 상은 2024년에 신설되어 미래 모빌리티 전환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한 기업과 개인을 격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조직위원회(IEVE, 상임위원장 이희범)는 지난 10일 서울 법무법인 세종에서 열린 제6차 심사위원회를 통해 최종 수상 기업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기업으로는 ▲그리너지 ▲델타엑스 ▲이지트로닉스 ▲차봇모빌리티 등 전기차(EV), 친환경 모빌리티 및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 기술력과 시장성을 인정받은 12개 기업이 포함됐다.   차세대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성 수상 기업들은 기술력, 창의성, 지속가능성, 사업화 가능성을 엄격하게 평가받아 선정됐다. 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차 및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의 미래를 이끌 주역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이번 수상 기업들은 2025년 7월 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개최되는 제12회 국제e-Mobility엑스포 개막식에서 공식 시상식을 통해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엑스포 현장에서는 국내외 바이어 및 투자자들과의 네트워크 기회를 제공받아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심사위원단의 엄정한 평가 심사위원단은 학계, 연구기관, 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으며, 공정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독립 위원도 참여했다. 다각도로 검토된 이번 심사를 통해, 선정된 기업들은 전기차 및 e-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주체로 주목받고 있다.   미래를 선도할 기술과 기업 이희범 위원장은 “선정된 기업들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길 바란다”며, “엑스포는 이들의 기술을 글로벌 브랜드로 브랜딩하고 실질적인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대환 국제e-모빌리티엑스포 이사장 역시 “수상 기업들이 대한민국 경제 성장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며, “엑스포가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 도약하는 데 든든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제12회 국제e-Mobility엑스포 오는 7월 9일부터 4일간 열리는 제12회 국제e-Mobility엑스포는 50개국 이상이 참여하여 글로벌 e-모빌리티 트렌드를 공유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한-아세안 EV 포럼, 글로벌 UAM 포럼 등 50여 개의 세션과 글로벌 컨퍼런스도 예정되어 있어, 전 세계 모빌리티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할 전망이다.  
    출처 : 에너지데일리(http://www.energydaily.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19
      156863_109879_5148.jpg
    • 202
    • 22일 전
      2025.06.11
  • 22일 전
  • 전기안전공사, 국가유공자 가구에 안전한 전기환경 선물
  • 한국전기안전공사는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지난 10일, 전라북도 완주군에 거주하는 국가보훈대상 가구를 대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쳤다고 11일 전했다.     이번 활동은 6.25 전쟁과 월남전에 참전했던 국가유공자 가구 6곳의 노후 전기 설비를 교체하며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속한 국가유공자 35가구에 혹서기 대비 생필품 꾸러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주거환경 개선 대상자로는 6.25 전쟁 당시 간호장교로 참전했던 A씨와 맹호부대 소속으로 월남전에 참전한 B씨가 선정됐다. 전기안전공사 봉사대원 10여 명은 이날 두 분의 자택을 방문해 생필품 꾸러미를 전달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설비로 교체 작업을 진행했다.   전기안전공사는 지난 2012년 8월 국가보훈처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래, 꾸준히 지역 보훈대상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 안전 점검과 시설 개선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사장은 “국가유공자분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실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상생하며 보훈의 의미를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11
      214504_87480_2012.jpg
    • 201
    • 24일 전
      2025.06.09
  • 24일 전
  • LS전선, 초고압직류 세계 최대 용량 케이블 상용화 쾌거
  • LS전선, 세계 최대 송전 용량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 상용화 성공     LS전선이 세계 최대 용량을 자랑하는 초고압직류(HVDC) 케이블의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이 혁신적인 케이블은 한국전력의 ‘동해안-수도권’ 송전망 1단계 사업에 단독으로 공급될 예정입니다.   새롭게 상용화된 525kV급 고온형 HVDC 케이블은 기존 제품보다 도체 허용 온도를 70℃에서 90℃로 높여 송전 용량을 최대 50%까지 향상시킨 것이 특징입니다. 이 케이블은 오는 9월, 동해안-수도권 HVDC 1단계 지중 구간에 투입됩니다.   이 프로젝트는 LS전선의 양산 제품이 실제 송전망에 적용되는 첫 사례로, 국가 핵심 전력망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됩니다. 동해안에서 신가평 변환소를 연결하는 1단계 구간에 이어 수도권까지 연결하는 2단계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HVDC 기술은 기존 교류(HVAC) 방식보다 송전 손실이 적고, 동일한 조건에서 최대 3배의 전력을 장거리로 전달할 수 있어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HVDC 시장은 2018년 약 1조 8천억 원에서 2030년에는 41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LS전선은 유럽(1950년대)과 일본(1990년대)보다 뒤늦은 2008년에 HVDC 케이블 개발을 시작했지만, 10여 년 만에 세계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 이 기술을 상용화한 기업은 전 세계에서 6곳뿐이며, 국내에서는 LS전선이 유일합니다.   LS전선 기술개발본부장 이인호 CTO는 “HVDC 시장에서의 경쟁력은 상용화 기술을 얼마나 확보했는지에 달려 있다”며, “LS마린과 협력해 서해안 HVDC 에너지고속도로, 동해안-수도권 2단계, 독일 테네트 프로젝트 등 국내외 주요 사업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13
      214397_87354_2122.jpg
    • 200
    • 27일 전
      2025.06.06
  • 27일 전
  • DS단석, ‘세계 환경의 날’ 기념 탄소 다이어트 플로깅 진행
  • DS단석, 제2회 ‘The 건강한 탄소 다이어트 캠페인’ 성료     글로벌 자원순환 전문 기업 DS단석(대표 한승욱, 김종완)은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제2회 The 건강한 탄소 다이어트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 캠페인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환경∙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DS단석의 노력으로, 지역사회의 환경정화를 실천하며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더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시작됐다.   캠페인에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DS단석의 임직원 10여 명이 함께했으며, 이들은 **플로깅 키트(가방, 집게, 생분해 비닐 등)**를 활용해 사업장 주변인 시화공단과 옥구천 일대를 정화했다. 이 활동은 ‘세계 환경의 날’의 취지를 살려, 환경부 주관의 글로벌 실천 캠페인에 동참하는 의미도 더했다.   한 참석자는 “플로깅 캠페인을 통해 기업이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방법을 배우게 됐다”며, “더운 날씨 속에서도 깨끗해진 거리와 환경을 보며 보람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2025년 세계 환경의 날 공식 행사는 환경부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 주최하며, 6월 4일부터 5일까지 제주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10
      214378_87336_18.jpg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