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 뉴스

90001c024e688563289c789d40e75191_1725339358_8693.png


2025.08.09 15:17

미래를 여는 열쇠, 신재생에너지와 지역의 공존

  • 친환경에너지연합 오래 전 2025.08.09 15:17
  • 18
    0

기후 위기 시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에너지 전환

지구 온난화가 일상이 된 지금, 에너지 전환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 되었다. 국가적 탄소중립 목표가 설정되면서,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로 옮겨가는 흐름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요구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불거지는 지역 갈등과 환경 문제를 풀어낼 **‘공존 모델’**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48928_43517_749.jpg

 

 

지역과 함께 만드는 신재생에너지, 성공의 현장

전국 곳곳에서는 주민과 지역이 주체가 된 에너지 전환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 전북 부안 ‘하서 에너지 자립마을’
    마을 전체가 태양광 발전으로 전력의 대부분을 충당하고, 남는 전력은 판매해 수익을 마을로 환원한다. 주민들이 직접 협동조합을 꾸리고 기획·운영 전 과정에 참여해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자립 모델을 완성했다.

  • 제주 ‘탐라 해상풍력단지’
    사업 초기부터 주민과의 상생 방안을 설계해 갈등을 최소화했다. 수익 일부를 지역발전기금으로 조성하고, 주민이 교육·모니터링에 참여하도록 해 수용성을 확보했다. 지금은 해상풍력 확산의 표준 사례로 평가받으며, 야간 경관 조명을 활용한 관광명소로도 주목받고 있다.

  • 덴마크 ‘삼소섬(Samsø Island)’
    전력과 난방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하고, 주민이 풍력터빈의 80% 이상을 소유한다. 이를 통해 지역 내 경제 순환 구조를 만들어 ‘에너지 자립의 섬’으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

이들의 공통점은 **‘지역과의 공존’**을 핵심 가치로 삼는다는 것이다. 대규모 설비와 자본 중심이 아닌,

  • 주민 참여

  • 수익 공유

  • 투명한 정보 공개
    이 세 가지 원칙이 갈등을 줄이고 신뢰를 쌓는 핵심 열쇠가 되었다.

반대로 일부 지역에서는 일방적 추진과 소외된 주민들로 인해 반발이 거세다. 전남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광·풍력 난개발로 인한 반대가 잇따르고 있는데, 이는 신재생에너지 자체가 아니라 절차와 지역 존중이 결여된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다.

에너지 정의와 지방 분권형 전환

재생에너지 확대는 곧 **‘에너지 정의’**와 맞닿아 있다. 누가 생산하고, 누가 이익을 누리는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이 필요하다. 정부는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사업에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지방정부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규제 미비와 정보 비대칭, 갈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영암군이 맞이한 선택의 순간

영암군은 도로로부터 500m 이내 태양광 설치가 제한되는 규제 속에서 입지 선정이 쉽지 않다. 농업 비중이 높아 농지 훼손 우려도 크다. 이는 단순한 개발 반대가 아니라 생계와 직결된 문제이기에 신중한 접근이 필수다.

하지만 세계는 이미 탄소중립을 향해 달리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소비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데이터센터 역시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풍부한 지역에 자리를 잡는다. 해남군의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부지는 대표적 사례다. 해남군은 이를 위해 보급 융복합지원사업 공모 선정, 국·도비 확보 등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전환의 해답, ‘공존’

신재생에너지는 시대의 흐름이자 대응이다. 설치 여부만 따질 것이 아니라,

  • 지역경제

  • 농업

  • 일자리

  • 환경

  • 에너지 자립
    이 다섯 축이 균형을 이루는 모델을 설계해야 한다.

기술과 자본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전환이 불가능하다. 지역과 신뢰를 쌓고, 공정한 분배 구조를 마련하며, 소통을 생활화하는 것—이것이야말로 탄소중립 시대를 살아남는 실천적 해답이다.

출처 : 영암신문(http://www.yasinmoon.com)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