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 뉴스

90001c024e688563289c789d40e75191_1725339358_8693.png


  • 전체 215건 / 5 페이지
    • 155
    • 오래 전
      2025.03.16
  • 오래 전
  •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 첫 두 자릿수 돌파…OECD 최하위 여전
  • 지난해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재생에너지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최근 발간한 ‘월간 전기 통계’(2023년 12월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10.54%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 두 자릿수를 넘겼다. 이는 2011년 3.46%에서 꾸준히 증가해 2018년 9.03%에 도달했지만, 2020년 7.44%로 하락한 이후 다시 상승한 수치다. 정부는 지난달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9.2%로 확대할 방침이다.   그러나 OECD 38개 회원국 평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5.84%에 달하는 것과 비교하면, 한국의 목표치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OECD 국가 중에서도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으며, 바로 위에 있는 멕시코(18.93%)와도 큰 차이를 보인다. 또한, OECD 비회원국인 브라질(86.56%), 중국(34.32%), 인도(21.75%) 등도 한국보다 높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OECD 회원국들의 전체 순 발전량은 1만832.9테라와트시(TWh)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발전원별로 보면, 화석연료 발전은 0.9% 감소한 반면, 재생에너지는 7.1%, 원자력 발전은 2.7%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은 화석연료 발전이 2.8% 증가했으며, 이는 석유 발전량이 7.9% 줄었지만 천연가스와 석탄 발전량이 각각 3.8%, 2.1% 증가한 영향이다. 지역별로 보면, 천연가스 발전량 증가는 주로 유럽(26.1%)이 주도했으며, 미주(-0.5%)와 아시아-오세아니아(-3.5%)에서는 오히려 감소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12월에 2.8% 증가했으며, 특히 태양광 발전이 26.4%나 늘었다. 이는 미국(37.4%)과 오스트레일리아(26.7%)의 태양광 발전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같은 기간 풍력 발전량은 1.2%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수력 발전량은 2.1% 감소했다.   원자력 발전의 경우, 지난해 12월 발전량이 4.3% 증가했으며, 특히 프랑스에서 16.2%나 급증했다. 미주(3.6%)와 아시아-오세아니아(3.4%) 지역도 원자력 발전량 증가세를 보였다.   이처럼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OECD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출처 : https://news.nate.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46
      20250316501241.webp
    • 154
    • 오래 전
      2025.03.15
  • 오래 전
  • 정부, 복합위기 대응 강화 위해 비상에너지수급계획 개편
  • 정부는 두 개 이상의 에너지원에서 동시에 수급 위기가 발생하는 복합적인 에너지 비상 상황에 대비해 범정부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전력망 운영의 어려움 등을 반영해 전력 분야 위기 관리 대상에 전력망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14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35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정부는 '비상시 에너지 수급 계획'을 심의하며, 에너지 수급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을 정비했다고 발표했다. 13년 만에 이루어진 이번 계획 수정은 에너지믹스 변화,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가, 이상기후의 상시화 등 급변하는 에너지 환경을 반영한 것이다.   정부는 이번 계획에서 두 가지 이상의 에너지 수급 위기가 동시 발생할 경우, 상황에 따라 '에너지 종합 비상 수급 대책본부' 또는 '에너지 종합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해 더욱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또한, 관리 대상 항목을 전력, 원유, 가스, 석탄에서 전력, 원유, 가스, 열로 개편했으며, 전력계통의 변동성 확대에 따라 전력 분야의 위기 관리 목표를 수급에서 수급 및 계통으로 세분화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수소 경제를 대비한 '제3차 가스 안전 관리 기본계획'과 전력 다소비 시설의 안전 관리 방안을 포함한 '제1차 전기 안전 관리 기본계획'도 심의되었다.   안덕근 장관은 "에너지 수급 환경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상시 대응 계획을 정비하여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https://www.yna.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31
      AKR20250314054100003_01_i_P4.jpg
    • 153
    • 오래 전
      2025.03.14
  • 오래 전
  • "석탄, 13년 만에 비상 에너지 관리 대상에서 제외… 수요 감소 반영"
  • 정부,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 개정… 석탄 제외, 열 관리대상 추가 정부가 에너지 수급 위기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수립하는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에서 석탄을 13년 만에 관리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는 석탄 수요 감소에 따른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14일 제35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이 내용을 포함한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확정했다.     그간 정부는 에너지법에 따라 석유, 가스, 전기 등 주요 에너지원의 수급 차질에 대비해 비상 계획을 마련해왔다. 이번 개정은 에너지믹스 변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 이상기후 상시화 등 최근 수급 환경 변화를 반영해 시나리오별 대응 매뉴얼을 강화한 것이다. 주요 변화로, 석탄 수요 감소와 열 수요 증가에 맞춰 관리 대상을 기존 ‘전력·원유·가스·석탄’에서 ‘전력·원유·가스·열’로 재편했다. 또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 계통 변동성을 고려해 전력 위기 관리를 ‘수급’ 중심에서 ‘수급·계통’으로 세분화했다.   동시에 2개 이상 에너지원의 수급 위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상황 심각도에 따라 ‘에너지 종합 비상수급대책본부’ 또는 ‘에너지 종합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며 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가스·전기 안전관리 계획도 함께 수립 이날 위원회에서는 5년 주기로 수립되는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도 논의됐다. 가스는 취사·난방부터 산업·발전까지 폭넓게 사용되지만, 가연성과 폭발성으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번 계획은 수소경제 확장에 대비해 수소 신기술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 노후 가스시설 증가에 대응해 I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상시 안전관리 체계를 도입하고, 민간 주도의 자율적 안전관리 강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AI 산업 성장으로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시설이 늘면서 전기 안전을 위한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도 처음으로 수립됐다. 이 계획은 다중이용시설, 산업단지, 사회적 배려층 등 전기안전 취약 분야에 맞춤형 관리와 현장 중심의 유연한 안전체계를 강화하며, 첨단기술 기반의 안전 혁신을 추진한다. 아울러 민간 주도의 전기안전 기반 조성을 통해 관련 산업 육성도 지원한다.   “변화하는 에너지 여건에 신속 대응”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에너지 수급 여건이 급변함에 따라 13년 만에 비상 계획을 정비했다”며 “이 계획은 수급 위기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컨틴전시 플랜으로,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news1.kr/
    • 최고관리자
    • 30
      hhhhhh.jpg
    • 152
    • 오래 전
      2025.03.13
  • 오래 전
  • "재생에너지 쏠림, 전기요금 상승 초래"…균형 잡힌 믹스 필요
  • 비용 효율적인 에너지 믹스를 구축하기 위해 원전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에너지원별 특성을 고려해 믹스를 다변화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의 해법이라는 분석이다.     13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 원자력과 합리적 에너지믹스’ 토론회에서 노동석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원전소통지원센터장은 “재생에너지만으로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원전을 포함한 다양한 에너지원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2차 석유파동 당시 발전설비의 71%를 석유에 의존한 결과, 전기요금이 3배 이상 상승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특정 에너지원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 센터장은 재생에너지의 발전단가(LCOE)가 낮아지고 있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시스템 비용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생에너지가 확대될수록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는 LCOE 하락 효과를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다”며 “각 전원의 발전단가뿐만 아니라 계통 운영 비용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적의 에너지 믹스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도 소개됐다. 2021년 서울대-원자력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을 기준으로 발전 비중을 재생에너지 80%로 설정할 경우 전기요금이 90.8123.2% 상승하는 반면, 원전 35%와 재생에너지 50%를 조합할 경우 전기요금 인상 폭이 50.461.4%로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원전이 과잉 발전 문제를 완화하고 계통 통합 비용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토론에 참석한 정연제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역시 비슷한 견해를 보였다. 정 교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천연가스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유럽의 에너지 가격이 급등했고, 정책 방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며 “결국 핵심은 에너지 가격 안정성”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LCOE가 낮아졌다고 해서 에너지 가격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LCOE는 전체 시스템 비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경제성 평가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국회 대전환시대성장포럼과 전력연맹, 한수원·한국전력기술 노동조합 측은 에너지 안보를 고려한 균형 잡힌 정책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정부에서 원전을 소홀히 했던 점을 반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에너지원이 조화를 이루는 믹스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민주당도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에너지 정책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전기신문(https://www.electimes.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38
      351825_557858_4026.jpg
    • 151
    • 오래 전
      2025.03.12
  • 오래 전
  • 에너지 소비 증가 속에서도 효율성 1.6% 개선
  • 2023년 에너지총조사 결과 발표: 에너지 소비 증가 둔화 및 효율성 개선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3월 13일 ‘2023년도 에너지총조사(2022년 기준)’ 결과를 공개했다. 에너지총조사는 ‘에너지법’ 제19조에 따라 1981년부터 3년마다 시행되며, 업종·용도별 에너지 소비 구조를 분석하는 중요한 조사다.       에너지 소비 증가 둔화 2022년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소비량은 2억3,000만toe로 2019년(2억2,700만toe) 대비 연평균 0.5% 증가했다. 그러나 198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3.9%)에 비해 낮아, 전반적인 소비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에너지 효율 지속 개선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는 연평균 1.6% 개선되었으며, 1995년 이후 30년 동안 꾸준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 경제가 점차 에너지 효율적인 구조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부문별 에너지 소비 변화 산업부문: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0.8% 증가했으며,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0.4%에서 61.0%로 확대되었다. 제조업 내 납사(원료용 석유제품) 소비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수송부문: 같은 기간 연평균 0.6% 감소했으며, 전체 소비 비중도 21.4%에서 20.7%로 줄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교통량 감소, 하이브리드차 보급 확대(2.97% → 11.03%)에 따른 연비 개선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상업·공공부문: 연평균 2.1% 증가하며 비중도 9.5%로 확대되었다. 이상기후로 인해 냉·난방설비 가동이 늘어난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가정부문: 연평균 0.4% 감소했으며, 가구당 에너지 소비도 2.7% 줄어 2013년 이후 9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1인 가구 증가, 고효율 가전 보급 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에너지원별 소비 변화 2019년 대비 2022년 소비량 변화를 살펴보면, 석유(0.6%), 전기(1.8%), 열·기타(8.3%)는 증가했지만, 석탄(1.9%), 가스(2.2%)는 감소했다. 2022년 기준 에너지원별 비중은 △석유 51.7% △전기 21.3% △석탄 12.1% △가스 10.6% △열·기타 4.3%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용 수요 증가로 석유 소비가 늘었으며, 전력 사용 확대 경향에 따라 전기 소비도 증가했다. 반면, 가스는 철강산업의 수요 감소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정책 방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그동안의 고효율 에너지 개선 사업, 친환경차 보급 확대, 에너지 절약 설비 투자 등으로 우리 경제의 에너지 효율성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및 상세 데이터는 **국가통계포털,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KESIS), 국가온실가스배출량종합정보시스템(NETIS)**을 통해 3월 13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인사이트에너지뉴스(Insight Energy News)(http://www.inenews.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36
      20248_20948_725.png
    • 150
    • 오래 전
      2025.03.10
  • 오래 전
  • "IEA, 2027년까지 세계 전력 수요 급증…연평균 4% 성장 전망"
  • 세계 전력 수요가 2027년까지 사상 최고 속도로 증가할 것이라는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이 나왔다. IEA는 산업용 전력 수요의 확대, 에어컨 사용 증가, 전기화 가속화, 데이터 센터의 급성장 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세계 전력 수요, 연평균 4% 성장 예상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IEA의 ‘2025년 전력(Electricity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전력 소비 증가율은 2023년 2.5%에서 2024년 4.3%로 급등한 데 이어,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약 4%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매년 일본 전체 전력 소비량에 맞먹는 추가 수요가 발생하는 수준이다.   특히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이 전력 수요 증가의 주된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중국의 전력 수요 증가가 가장 두드러질 것이라며, 2027년까지 연평균 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세계 전력 수요 증가의 핵심   중국의 전력 소비는 2022년 7% 증가했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산업 부문이 주도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패널, 배터리, 전기자동차 등 신산업의 급성장도 전력 수요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전기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중국의 최종 에너지 소비에서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8%로, 이는 미국(22%)과 EU(21%)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선진국의 전력 소비, 증가세로 전환   한편, 과거 15년간 감소 추세를 보였던 선진국의 전력 소비도 최근 반등하며 2027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호주, 캐나다, EU, 일본, 한국,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전력 소비는 세계 전력 수요 증가분의 약 15%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에너지 효율 기술과 전력 기반 최종 사용 기술 보급이 확대된 결과다.   재생에너지, 전력 수요 증가분 충족   전력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IEA는 태양광과 원자력 등 저배출 발전원이 이를 충분히 충족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태양광 발전은 특히 주목받고 있으며, 2027년까지 세계 전력 수요 증가의 약 50%를 충당할 것으로 보인다. 지속적인 비용 절감과 정책적 지원이 이러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지난해 EU에서 태양광 발전은 석탄화력을 넘어섰으며, 전력 믹스에서 10% 이상의 비중을 기록했다. 중국, 미국, 인도의 태양광 발전 비중도 2027년까지 1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원자력 발전도 매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의 새로운 국면이 열리는 가운데,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확대가 에너지 전환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0
      211429_83927_319.jpg
    • 149
    • 오래 전
      2025.03.09
  • 오래 전
  • AI 데이터센터·재생에너지 확산… 초고용량 UC 수요 급증
  • S머트리얼즈, 인터배터리 2025에서 4천 패럿 UC 솔루션 공개     울트라커패시터(Ultra Capacitor, UC) 전문기업 LS머트리얼즈(Materials)(주)가 ‘인터배터리 2025 (INTER BATTERY)’에서 4천 패럿(F) 용량의 혁신적인 UC 솔루션을 선보였다.   커패시터는 순간적인 고출력 전력 공급이 가능해 빠른 충·방전이 필요한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배터리가 장시간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커패시터는 짧은 시간 내 강력한 전력을 공급하는 특성을 가진다. 특히, 슈퍼 커패시터라 불리는 UC는 기존 커패시터보다 훨씬 큰 패럿 단위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   LS머트리얼즈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UC 솔루션은 100~4천 패럿 용량을 지원하며, 친환경 소재인 야자수 활성탄소를 주재료로 활용해 열폭주 위험을 낮추는 동시에 환경 보호까지 고려했다.   또한, AI 데이터센터의 GPU 시스템에 최적화된 ‘셀듈(Celldule)’과 알루미늄 케이스를 적용해 뛰어난 방열 성능을 갖춘 ‘CTC(Cell to Cell)’ 모듈도 함께 선보였다. 이를 통해 고출력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UC의 활용 가능성을 넓혔다.   LS머트리얼즈 관계자는 “LS전선 시절부터 20년 이상 UC 연구개발을 지속하며 용량을 꾸준히 확대해 왔다”며, “해외 공장 없이 국내에서 대형 커패시터 셀을 양산하고 있으며, 안양에 연구소를 두고 있어 고객 맞춤형 제품 개발 및 기술 지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UC 기반의 ‘그리드포밍(Grid-forming)’ 솔루션도 함께 소개됐다. 이 솔루션은 풍력과 태양광 같은 재생에너지원의 불안정한 전력 공급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관계자는 “UC의 순간 고출력 특성을 활용해 급격한 부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S머트리얼즈는 LS전선에서 분사한 LS엠트론의 UC 사업부가 2021년 물적 분할되며 독립 법인으로 설립됐다. 이에 대해 관계자는 “AI 데이터센터 확산과 신재생에너지 활용 증가로 인해 UC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며, “전력 공급이 불안정한 국가에서도 UC의 활용도가 높아 시장 전망이 밝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터배터리 2025는 3월 5일부터 7일까지 삼성동 코엑스(COEX) 전관에서 개최되며, 차세대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소개하는 글로벌 전시회로 자리 잡고 있다.

    출처 : https://kidd.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49
      thumb_520390_1741319842_70.jpg
    • 148
    • 오래 전
      2025.03.08
  • 오래 전
  • 2025년 저소득층 대상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안내
  • 2025년도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신청 안내 한국에너지재단에서는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도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을 추진합니다. 이 사업은 에너지 사용 환경을 개선하고 냉난방 효율을 높여 기후위기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지자체장의 추천을 받은 저소득 가구 사회복지시설(4월 중 별도 신청 접수 예정) 신청은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 및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며, 접수는 3월 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지원 내용 난방지원: 단열·창호·바닥 시공, 고효율 보일러 설치 냉방지원: 1등급 벽걸이형 에어컨 1대 지원 지원 금액 난방지원: 평균 243만 원,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 냉방지원: 전액 지원(별도 자부담 없음) 올해 사업에는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총 1,076억 원이 투입되며, 난방지원 3만 6,000가구, 냉방지원 1만 8,000가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신청 방법 및 기간 방문 신청: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 및 관할 행정복지센터 냉방지원 신청 마감: 2025년 4월 18일까지 난방지원 신청 마감: 예산 소진 시까지 또한, 올해부터는 신청 편의를 위해 냉방지원 신청 기간 중 난방지원도 함께 신청할 수 있도록 원스톱 통합 접수가 가능합니다.   문의처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콜센터(1670-7653)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에너지 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이 보다 쾌적해질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인기
    • 112
      211399_83902_4035.png
    • 147
    • 오래 전
      2025.03.07
  • 오래 전
  • 에너지연, 경제적 친환경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미래 전략 제시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AI·계산과학실 박정호 박사 연구팀이 친환경 수소 생산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수전해 기술의 경제성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그린수소 생산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은 알칼라인 수전해와 양성자교환막(PEM) 수전해이다. 알칼라인 수전해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지만, 장치가 요구하는 일정한 전력 공급이 어려워 재생에너지와의 연계에 한계가 있다. 반면, PEM 수전해는 적은 전력으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로 운영 가능하지만, 초기 설치 비용이 비싸고 기술 성숙도가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두 기술만으로 그린수소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알칼라인 수전해와 PEM 수전해의 기술적 차이를 비교하고, 경제성 측면에서 최적의 운영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알칼라인 수전해의 경우 전력 공급이 일정하지 않으면 장치의 열화가 발생해 효율과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존 전력망을 보조 전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 가장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진은 분석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면서 에너지 저장 장치(ESS)를 보조 전원으로 활용하면 수소 생산 단가가 킬로그램당 최대 8.6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반면, 기존의 화석 연료 기반 전력망과 연계하면 수소 생산 단가는 6.6달러로 낮아진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기존 전력망과의 연계가 경제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ESS의 단가 절감과 바이오매스 및 원자력 같은 무탄소 연료 발전 비율 증가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PEM 수전해의 경우, 전력을 과잉 공급하면 수소 생산량이 늘어나는 특성을 이용해, 과부하 운전을 통해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1.5배 과잉 공급할 경우, 수소 생산 단가는 킬로그램당 5.8달러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가 풍부하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PEM 수전해를, 그 외의 환경에서는 알칼라인 수전해와 무탄소 기반의 전력망을 결합한 방식이 이상적이라고 결론지었다. 또한, 한국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수소 생산 모델을 제시했다. 제주도의 기상 데이터를 토대로, 향후 100메가와트(MW)의 수전해 설비와 해상풍력 100MW, 태양광 100MW를 조합하면, 킬로그램당 4달러 수준으로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정호 박사는 “이번 연구는 두 수전해 기술의 차이를 명확히 분석하고, 다양한 에너지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설계 및 운영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향후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생산 시스템 구축 시, 이 연구가 기술 선택과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충청뉴스(http://www.ccn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46
      364381_454974_4640.jpg
    • 146
    • 오래 전
      2025.03.06
  • 오래 전
  • 분산에너지 시대를 열다: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 구축 완료
  • 한전,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ADMS) 전국 구축 완료…기념식 성료   한국전력(한전)이 6일 서울 엘타워에서 ‘차세대 배전망 관리시스템(ADMS)’ 전국 구축 완료 기념식을 개최하며, 에너지 혁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ADMS(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는 배전망에 ICT 기술을 접목해 분산형 전원과 전력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첨단 시스템이다. 한전 전력연구원이 주도한 이 시스템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298억 원 규모의 정부 연구 과제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지난해 전국 한전 사업소에 성공적으로 구축됐다.     ▲ 한전 전력연구원 본관동 전경   기존 시스템과의 차별화 전통적인 배전망 시스템(DAS)은 주로 대형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소비자에게 단방향으로 전달하는 구조였다. 반면, ADMS는 분산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전력을 양방향으로 송·배전하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현재 배전망에는 국내 분산에너지 발전기의 약 99%(설비용량의 76%)가 연결돼 있으며, 이 시스템은 분산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경제적·환경적 효과 ADMS는 실시간 배전망 상태 분석을 통해 재생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하고,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추가 망 건설 비용 약 4,000억 원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전은 국내 실적을 토대로 연평균 20% 이상 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ADMS 시장에도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   정부의 기대와 응원 행사에 참석한 최남호 산업부 차관은 “올해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중요한 해”라며, “전국적으로 분산에너지에 최적화된 배전망 시스템을 구축한 것은 큰 성과이며, 무엇보다 국내 연구진이 직접 개발한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한전은 이번 ADMS 전국 구축을 통해 분산에너지 활성화는 물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5
      211324_83790_3655.jpg
    • 145
    • 오래 전
      2025.03.05
  • 오래 전
  • "재생에너지의 시대, RE100과 에너지 안보 정책" 국회 토론회 열려
  • RE100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   2025년 3월 4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는 RE100(재생에너지 100%)에 대한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중요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RE100전국대학교수협의회(회장 전병훈 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와 (사)좋은정책포럼(이사장 임혁백 고려대 명예교수)이 공동으로 주최한 행사로, ‘트럼프 2기, 대한민국 에너지 안보 정책’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RE100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 필요성   이번 토론회에서 참석한 전문가들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2기 출범과 함께 변화하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맞서기 위해, 한국은 RE100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제별로는 △산업 탈탄소화의 방향 △국내 재생에너지 현황과 RE100 환경 변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상생 방안 △에너지와 지역 발전의 미래 △에너지 규제 및 혁신 방안 등이 논의됐다.   전병훈 교수의 발제: 독일 사례를 통한 방향 제시   전병훈 교수는 발제문을 통해 "국제적으로 청정에너지를 요구하는 시대에 우리는 RE100 실현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이 매우 높은 만큼, RE100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독일의 에너지 전환 성공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독일은 2000년 이후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2023년에는 총 전력 소비의 52%를 재생에너지가 차지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독일의 성공적 재생에너지 정책   전 교수는 독일의 체계적인 에너지 정책을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고정가격 매입제도, 입찰제도, 그리드 우선 접속, 에너지 저장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 확산을 이끌어냈다고 언급하며, 한국도 에너지 기술 개발과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마트 그리드와 ICT 활용 필요성   또한 한국은 높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축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 교수는 "과거 한국이 에너지 정책에서 성공을 거둔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도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이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토론회 결론 및 향후 방향   이번 토론회의 사회를 맡은 RE100전국대학교수협의회의 천지광 사무총장은 "에너지 정책을 국가 안보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이를 이념에 휘둘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발전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다양한 에너지원에 대한 기술 개발 및 투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RE100전국대학교수협의회의 역할   RE100전국대학교수협의회는 대한민국의 RE100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실현 가능한 기술과 정책을 연구하고, 정부 및 산업계와 협력하여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이 협의회는 전병훈 한양대 교수를 협회장으로, 전국의 대학교수, 연구소 소속 연구원, 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에서 열린 중요한 행사로, 대한민국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향후 방향 설정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인더스트리뉴스(http://www.industr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6
      60785_69045_5140.jpg
    • 144
    • 오래 전
      2025.03.04
  • 오래 전
  • 국회, ‘에너지 3법’ 통과…첨단산업 성장과 친환경 전환 가속화
  • 국회, '에너지 3법' 본회의 통과…전력망 확충·방폐물 관리·해상풍력 활성화 탄력   첨단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친환경 에너지 확대를 위한 **'에너지 3법'**이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됐다. 이번에 통과된 법안은 전력망확충법, 고준위방폐장법, 해상풍력특별법으로, 각각 전력 인프라 확충, 방사성 폐기물 관리 체계 마련, 해상풍력 발전 촉진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전력망확충법, 안정적인 전력 공급 기반 마련 국가기간전력망 확충을 위한 특별법(전력망확충법)은 본회의에서 재석 215명 중 찬성 191명, 반대 5명, 기권 19명으로 가결됐다. 이 법안은 정부가 송전선로 확충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며,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기본계획을 수립할 근거 마련 신속한 행정절차 처리를 위한 특례 규정 도입 전력 생산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우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 포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전력 공급 안정성을 높이고, 신속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준위방폐장법,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 시설 마련 21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했던 **고준위방폐장법(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도 이번 본회의에서 재석 225명 중 찬성 190명, 반대 8명, 기권 27명으로 통과됐다. 현재 원전에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사성폐기물)는 원전 내 임시 저장시설에 보관되고 있지만, 이 시설이 곧 포화될 전망이어서 영구 처분 시설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번 법안 통과로, 방사성폐기물 관리의 법적 근거가 명확해지면서 보다 체계적인 처리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야당의 요구가 반영돼 저장시설의 용량이 ‘설계 수명 내 예상 발생량’ 기준으로 설정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원전 확대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야당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해상풍력특별법, 친환경 에너지 전환 가속화 해상풍력 보급과 산업 육성을 위한 해상풍력특별법도 본회의에서 재석 203명 중 찬성 180명, 반대 6명, 기권 17명으로 가결됐다. 이 법안은 해상풍력 발전의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보급을 촉진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풍력발전 지구 내에서 필요할 경우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가능 석탄화력발전소 운영기관이 해상풍력사업으로 전환할 경우, 사업자 선정에서 우대 조항 적용 등이 주요 골자로 포함됐다. 이를 통해 해상풍력 발전이 더욱 활발해지고, 석탄화력 발전소의 친환경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법안 시행 일정 이번에 국회를 통과한 법안들은 공포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시행된다. 전력망확충법과 고준위방폐장법 → 6개월 후 시행 해상풍력특별법 → 1년 후 시행   이번 ‘에너지 3법’ 통과는 국내 전력망 확충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방사성폐기물 관리 체계 마련 등 에너지 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에너지에프엔(http://www.energyfn.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4
      21950_21961_913.png
    • 143
    • 오래 전
      2025.03.03
  • 오래 전
  • 국민과 함께 감시한다…공공기관 에너지 사용 실시간 공개
  •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기관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공기관 그린버튼' 서비스를 4일부터 국민들에게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공공기관의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투명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공공기관의 에너지 사용 정보가 국민들과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각 기관의 에너지 소비 현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공공기관 스스로도 에너지 효율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동기를 부여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한국에너지공단과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여 '지능형 원격 검침 장치(AMI)' 등의 기술을 개발, 각 공공 건축물에 적용했다. 이 시스템은 2023년 7월부터 시범 운영을 거쳤으며, 데이터 검증과 시스템 개선 작업을 마친 후 이번에 정식으로 공개됐다.   산업부는 이 시스템이 단순한 데이터 제공을 넘어 정부의 에너지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민간 기업이 공공기관의 에너지 소비 정보를 분석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에너지 진단과 ESCO(에너지 절약형 사업)와 같은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시스템은 초기 단계로 583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앞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에너지 효율 개선은 물론, 국민들의 에너지 절약 인식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친환경에너지연합
    • 50
      1111111111.jpg
    • 142
    • 오래 전
      2025.03.02
  • 오래 전
  • 해상풍력특별법 제정,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환영과 기대"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해상풍력특별법 제정을 환영하며 재생에너지 도약 기대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회장 조철희)는 2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해상풍력특별법)을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학회는 이번 법안이 대한민국의 재생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해상풍력은 대규모 전력 생산과 높은 효율성을 자랑하며 주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풍력에너지협회(Global Wind Energy Council)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 세계 해상풍력 보급량은 75.2GW에 달하며, 2028년까지 연평균 25%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풍부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지 선정의 복잡성, 주민 수용성 부족, 전력 계통 연계 문제 등으로 인해 해상풍력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어 왔다. 현재 상업적으로 가동 중인 해상풍력 설비는 124.5MW(2023년 기준)로, 2030년까지 18.3GW 보급을 목표로 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번 해상풍력특별법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해상풍력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주민 수용성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예비지구 및 발전지구 지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산업 성장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복잡했던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여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고, 해상풍력 보급 확대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더불어 함께 통과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이하 전력망특별법)은 해상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의 효율적 전력 계통 연계를 지원할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필수적인 345kV 이상의 고용량 송·변전 설비 구축을 위한 경제적 여건이 조성되면서 사업 추진이 한층 용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는 이번 법 제정을 계기로 정부 및 관련 기관과 긴밀히 협력하며, 제도 설계와 정책 실행 과정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학계와 산업계의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재생에너지 산업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번 법안 통과로 대한민국의 해상풍력 산업은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되며,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전환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될 전망이다.
        출처 : 냉동공조저널(https://www.hvacrj.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8
      30040_30116_2342.png
    • 141
    • 오래 전
      2025.02.28
  • 오래 전
  • 국회 본회의, ‘에너지 3법’ 전격 통과…법 제정 성과 도출
  • ‘에너지 3법’이라 불리는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 특별법 제정안이 지난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 에너지 3법이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정부는 이번 법안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의 대규모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무탄소 전원의 확대와 국가 에너지 안보 강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전력망 특별법’은 국가 전력망 건설에 대한 주민 수용성 문제로 인해 전력망 연계와 첨단 산업 전력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면서 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어 왔다. 이 법안의 주요 내용은 △국무총리 소속의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위원회 설치 △인허가 의제 확대(기존 18개에서 35개로 확대) △주민과 지자체의 보상 및 지원 확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345kV 이상의 핵심 전력망을 적기에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관리와 영구 처분을 위한 법이다.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의 저장이 2030년부터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법 제정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 법안은 △국무총리 소속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 설치 △고준위 방폐장 부지 선정 절차 마련 △유치 지역 지원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2050년 이전에 중간저장시설을, 2060년 이전에는 처분시설을 운영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기존 민간 주도의 해상풍력 사업에서 지역 주민의 수용성 문제 등 지역적인 갈등이 발생하면서, 정부 주도의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해상풍력 사업 입지 발굴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 법안은 △국무총리 소속 해상풍력 발전위원회 설치 △정부 주도 하에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이 확보된 해상풍력 입지 발굴 △인허가 의제 지원 △해상풍력 산업 육성 등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해상풍력 보급과 관련 산업 육성이 기대된다.   에너지 3법은 이제 정부 이송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공포될 예정이며, 전력망 특별법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은 공포 후 6개월 뒤에, 해상풍력 특별법은 공포 후 1년 뒤에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법 시행에 맞춰 관계 부처와 협의하고, 의견 수렴 등의 과정을 통해 하위 법령을 철저히 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43
      211119_83591_1624.jpg

검색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