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에너지,신재생에너지,태양열에너지,re100,수력발전,지열발전,재활용에너지

친환경에너지 뉴스

90001c024e688563289c789d40e75191_1725339358_8693.png


  • 전체 161건 / 4 페이지
    • 116
    • 오래 전
      2025.01.29
  • 오래 전
  • 트럼프의 에너지 확장 선언, ‘에너지 독립’에 나선 유럽
  • 지난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미국산 석유와 가스 공급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히자, 유럽에서는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 독립’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 유럽은 LNG(액화천연가스)의 약 절반을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의 패권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21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연설하고 있다.   21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연설을 통해 러시아의 에너지 지배력과 미국의 에너지 확장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대안으로 ‘에너지 독립’을 강조했다. 그는 “유럽이 실질적인 에너지 독립을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러시아산 가스를 계속 구매하면서 동시에 미국의 군사적 지원과 안전 보장을 기대할 수는 없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미국은 유럽을 향한 LNG 수출 확대 방침을 굳건히 하고 있다. 23일 같은 포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산 LNG를 유럽에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며 유럽 내 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이는 유럽에서 에너지 패권을 놓치지 않겠다는 미국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산 가스를 대체할 방안을 모색하면서도 미국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25일, 아제르바이잔이 유럽으로 가스를 공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과의 협의를 통해 아제르바이잔산 가스를 최대 250억㎥까지 수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유럽 국가들이 필요할 경우 우크라이나의 가스 인프라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 같은 유럽의 움직임은 미국산 LNG 수입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타난 것이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유럽의 LNG 최대 수입국은 미국으로, 2021년 27%, 2022년 44%, 2023년 48%를 차지하며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유럽 내 에너지 의존도가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유럽 각국은 이를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에너지 공급원을 찾으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유럽의 에너지 독립 움직임은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시도로, 앞으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중요한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https://www.chosun.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39
      1.jpg
    • 115
    • 오래 전
      2025.01.28
  • 오래 전
  • 태양광 기술로 에너지 평등 실현: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
  • 태양광 기술은 전 세계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 형평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강력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 자금 조달, 그리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이 필수적입니다.     현재 일부 지역에서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태양광 발전(PV)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론지(LONGi)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 신흥 시장으로 확장하며 증가하는 전기 수요를 충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 혁신, 대규모 생산, 비용 최적화를 통해 태양광 발전의 경제성을 높이고 발전 단가를 지속적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태양광 발전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에너지 가격을 낮춤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이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이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이며 다양한 지역의 요구에 맞는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려면 각국 정부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합니다. 보조금과 세제 혜택 같은 지원은 청정 에너지로의 투자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특히 전기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정책적 노력이 더욱 절실합니다. 동시에 국제 금융 기관과 투자자들의 재정 지원도 청정 에너지 프로젝트의 연구,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실행을 원활히 진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태양광 발전의 지속적인 혁신은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협력, 정부 정책, 기술 혁신이 조화를 이룬다면 태양광 산업은 청정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 접근성을 높이는 데 중추적인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론지는 "자비로운 경제"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PV 제품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 친화적인 방식을 고수하며, 태양광 에너지의 비용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 격차를 줄이고 전 세계적으로 녹색 전력을 더 많은 이들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또한 론지는 "녹색 공급망 탈탄소화 이니셔티브"를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탄소 배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 절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태양광 산업이 단순히 기후 목표를 넘어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기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글로벌 협력은 태양광 기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데 있어 필수적입니다. 론지는 유엔 난민 고등판무관 사무소(UNHCR)와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형평성과 녹색 전환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녹색 전환은 단순한 기후 문제 해결에 그치지 않고,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과도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민간 부문은 녹색 인프라 확산과 청정 에너지의 활용을 촉진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은 글로벌 협력과 혁신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형평성을 실현하고 청정 에너지 전환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앞장서야 합니다. 모두가 더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누릴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은 변함없습니다.  
    출처 : 지티티코리아(https://www.gttkorea.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42
      16525_17249_1731.jpg
    • 114
    • 오래 전
      2025.01.27
  • 오래 전
  • 가스 말고, ‘공공풍력’을 선택하자
  • 한국에서 풍력발전이 처음 시작된 건 놀랍게도 1975년으로,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이다. 이 시기의 배경에는 1973년 4차 중동전쟁으로 촉발된 석유파동이 있었다. 1975년 2월,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의 한진그룹 제동목장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수입한 3킬로와트급 풍력발전기가 목장 직원 숙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하며 한국 풍력발전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같은 해 3월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경기도 화성군 어도리에 2킬로와트급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며, 재생에너지 연구의 기틀을 다졌다.     강원 평창군 청옥산에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모습.     당시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는 주요 화두였다. 미국의 지미 카터 대통령은 1977년 에너지부(DOE)를 설립하고 백악관에 태양열 시스템을 설치하며 재생에너지 확산에 앞장섰다. 덴마크의 베스타스도 같은 시기에 첫 풍력발전기를 제작하며 풍력발전 산업의 선두주자로 나섰다.   50년이 지난 지금, 기후위기라는 새로운 도전에 맞서며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5년간 '그린 딜'을 통해 590억 유로(약 88조 원)에 달하는 화석연료 수입 비용을 절감했으며, 2022년에는 풍력(17%)과 태양광(11%)의 발전 비중이 처음으로 가스(16%)와 석탄(10%)을 앞질렀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발전 연료의 97%를 수입하며, 이 비용이 국가 예산의 3분의 1인 약 223조 원에 달한다. 여기에 석탄과 가스발전에 드는 물류비, 저장비용, 탄소배출 비용까지 합치면 연간 9조 원 이상이 추가로 소요된다.   재생에너지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한국에서는 재생에너지 개발이 민간 기업, 특히 외국 자본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 현재 국내 태양광과 풍력 설비의 90% 이상이 민간 소유이며, 해상풍력발전 허가 사업의 93%가 맥쿼리, 블랙록 같은 외국 자본과 에퀴노르, 오스테드 같은 외국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에너지 주권에 심각한 도전이 될 수 있다.   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8년까지 태양광과 풍력을 각각 74.8기가와트, 40.7기가와트로 늘릴 계획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설비를 누가, 어떻게 확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없다. 현재의 구조가 지속된다면, 한국의 재생에너지 산업은 외국 자본에 종속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석탄발전소가 단계적으로 폐쇄되면서 대부분이 가스발전으로 대체되고 있는데, 이들 역시 민간 소유가 주를 이룬다. 공기업이 주도했던 과거의 전력 구조가 민간과 외국 자본 중심으로 바뀌는 모습이다. 이런 상황에서 석탄발전을 중단하는 발전공기업들이 가스발전이 아닌 공공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대규모 태양광과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충분한 자본과 조직이 필요한 만큼, 기후정의세를 도입해 최상위 부유층과 대기업들로부터 재원을 마련하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50년 전 박정희 대통령이 국내 풍력발전을 시작하며 재생에너지의 가능성을 타진했듯, 오늘날 공공재생에너지를 강화하고 에너지 주권을 지키기 위한 국가적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출처 : https://www.hani.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0
      20250126501660.webp
    • 113
    • 오래 전
      2025.01.26
  • 오래 전
  • 나주시, RE100 에너지정책 이끌 14인 자문위원 위촉
  • 전라남도 나주시가 에너지 분야의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지난 21일 'RE100 에너지정책 제2기 자문위원' 14명을 새롭게 위촉했다. 나주시는 자문위원회가 에너지기획, 스마트그리드, 분산에너지, 에너지 인공지능(AI), 배터리 소재, 에너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됐으며, 이들은 오는 2026년까지 2년 동안 활동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지난 21일 윤병태 나주시장과 'RE100 에너지정책 제2기 자문위원' 14명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위원회는 문승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연구원장을 위원장으로 선임했으며, 당연직 위원 3명과 위촉직 위원 14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나주를 에너지 선도 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과 행사를 기획하며, 나주시의 에너지 관련 비전 실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2월 12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나주 에너지밸리 수도권 투자유치 로드쇼'와 9월 중순에 개최 예정인 '나주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에 대해 논의했다. 위원들은 지역 특화 과제로 직류산업, 글로벌 혁신특구, 분산에너지 및 농촌형 특구를 제안하며, 대규모 에너지 행사와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수도권 투자유치 로드쇼를 통해 나주의 분산에너지 및 에너지밸리 비전을 제시하고, 에너지 신산업 중심의 기업 유치를 위한 전략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나주시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이 자문위원회는 대한민국 에너지정책 자문위원회라 해도 손색없는 수준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며, “탄소중립, 직류산업, 분산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정책을 구체화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태계를 조성하고, 나주를 인구 20만의 강소도시로 성장시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RE100은 2050년까지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가진 기업들의 자발적 연합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430개 기업, 국내에서는 36개 기업이 이 계획에 참여하고 있다.   출처 : KPI뉴스(https://www.kpinews.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35
      p1065578716071286_300_thum.jpg
    • 112
    • 오래 전
      2025.01.25
  • 오래 전
  •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청년·다자녀 가구 혜택 강화
  • 정부는 올해 전기차와 수소차 등 무공해 차량으로의 전환 정책을 대폭 강화하며, 탄소중립 실현과 국민 편의 향상을 동시에 이루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녹색 교통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어갈 방침이다.   ▲8일(현지시간) 호주 빅토리아 주 멜버른 파크에서 '2025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공식 차량 전달식이 열리고 있다.   전기차: 성능, 인프라, 보조금 강화 환경부는 전기차 성능과 안전성을 개선하고, 가격 인하를 유도하며 충전 인프라 확대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주요 교통 거점과 생활권 내 급속 충전기를 기존 3100기에서 4400기로 늘리고, 스마트 제어 충전기 9만1000대를 보급해 실시간 충전 상태 확인과 오류 방지가 가능한 효율적인 충전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전기차 구매보조금은 주행거리와 안전성 같은 성능 요소에 따라 차등 지급하며, 청년 및 다자녀 가구에는 최대 300만 원의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생애 첫 전기차를 구매하는 청년에게는 기본 국비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해 실수요자 지원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수소차: 상용화와 충전 인프라 확충 수소차는 대형 상용차를 중심으로 보급을 확대하며, 올해까지 수소충전소를 450기로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소로 전환해 도심 내 충전 편의를 높이고, 대형 상용차용 대용량 수소충전소를 우선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수소차의 성능평가 기준을 강화해 고성능 차량 제작을 유도하는 한편, 저성능 수소버스에는 구매보조금을 축소하는 차등 정책을 도입한다.   녹색 교통의 현재와 미래 2023년 말 기준, 국내 전기차는 약 68만4000대로 전년 대비 14만 대 이상 증가했으며, 수소차는 약 3만7500대로 3300대 가까이 늘었다.   정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2035년 새로운 감축 목표를 국제사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부문별 감축 목표와 실천 계획을 마련해 지속 가능한 녹색 교통 사회로 나아가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출처 : https://www.ekn.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54
      news-p.v1.20250124.de98d621c95141f6b48cfcf2fcadf1c8_P1.jpg
    • 111
    • 오래 전
      2025.01.24
  • 오래 전
  • DL이앤씨, 2360억원 규모 에쓰오일 열병합발전소 건설 계약 체결
  • DL이앤씨가 에쓰오일로부터 2360억원 규모의 열병합발전소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에쓰오일 울산공장 내에 설치될 121㎿ 규모의 열병합발전소로, 전력 121㎿와 시간당 160톤의 증기를 생산할 예정이다. DL이앤씨는 설계, 조달, 시공을 모두 담당하는 EPC 방식으로 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계획이다.   에쓰오일 열병합발전소   이 열병합발전소는 석탄 대신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에너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 배기가스를 대기 중에 바로 방출하지 않고, 폐열회수보일러를 이용해 증기를 생산하여 공장 운전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DL이앤씨는 이번 수주가 과거 에쓰오일과의 협업 경험을 바탕으로 가능했다고 전했다. 현재 DL이앤씨는 국내 최대 석유화학 설비 프로젝트인 '샤힌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2018년 '잔사유 고도화시설(RUC)' 등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유재호 DL이앤씨 플랜트사업본부장은 “발주처의 기술력 인정과 신뢰가 이번 추가 수주로 이어졌다”며,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친환경 발전 사업 수주를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mk.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38
      news-p.v1.20250124.fb5bde4d7ab84edcad3d7e27aa6a4089_P1.jpg
    • 110
    • 오래 전
      2025.01.22
  • 오래 전
  • 포항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수소융복합 혁신산업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 포항시는 22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기평)과 수소융복합 혁신산업 선도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이승재 에기평 원장, 배영호 포항테크노파크 원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에기평이 기초지자체와 맺은 첫 번째 협약으로, 수소 산업 혁신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의미한다.   양기관 업무협약 사진   협약에 따라 포항시는 수소산업 진흥과 탄소중립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포괄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되며, 수소 연료전지 특화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예정이다. 에기평과 포항시는 앞으로 국가 수소경제 기반 구축, 지역 수소산업 계획 수립 및 이행, 청정 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신산업 육성, 수소 전주기 연관 기업 성장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방침이다.   에기평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에너지 R&D 전문기관으로, 수소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포항시와는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와 수소특화단지 관련 프로젝트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해왔다. 포항시는 그동안 수소 연료전지 인증센터 개소, 수소산업 융복합 인력양성 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으며, 지난해에는 국내 최초로 수소특화단지 지정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포항시는 에기평과 함께 수소산업 혁신을 이끌고, 수소특화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강덕 시장은 "수소특화단지의 성공적인 조성은 중앙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포항을 세계 1등 수소 산업 국가로 이끄는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에기평과 힘을 합쳐 수소 산업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www.icbnnews.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38
      1737543030ADD_thumb580.jpg
    • 109
    • 오래 전
      2025.01.21
  • 오래 전
  • 트럼프,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에너지 가격 인하로 글로벌 패권 정조준
  • 2025년 1월 20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이례적으로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며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 큰 파장을 예고했다. 그는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미국의 에너지 패권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연방 정부 역사상 첫 번째 ‘에너지 비상사태’ 발동 사례로 기록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각) 워싱턴에서 열린 실내 대통령 취임식 퍼레이드 행사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들어 보이고 있다.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수출 확대”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연설에서 “에너지 비용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라며, “미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와 가스를 보유한 나라로서 가격을 낮추고 이를 전 세계에 공급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시장을 장악하고 미국 제조업의 부활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취임 첫날 그는 파리 기후협정 재탈퇴 행정명령에도 서명하며,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 기조를 재확인했다.   글로벌 시장과 중국 견제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는 중국과의 경제 패권 다툼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해석된다. 그는 “지금보다 두 배 이상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며 비상 권한을 활용해 대규모 공장과 인공지능(AI)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에너지 생산 확대가 미국 경제 전반의 기반을 강화할 것이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외신과 전문가들의 엇갈린 반응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로 허리케인, 테러 등 비상상황에서도 약 150개의 특별 권한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고 전하며, 대통령의 권한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을 보도했다. 반면, 로이터는 시민단체와 법률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해 “전쟁 상황이 아닌 평시 비상사태 선포는 전례가 드물며 법적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향후 미국과 국제 사회에 미칠 영향은 불확실하지만, 에너지와 기후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격화될 전망이다.   출처 : https://www.chosun.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46
      1.jpg
    • 108
    • 오래 전
      2025.01.20
  • 오래 전
  • 남부발전, 하동화력 전환 위한 '에너지 전환 로드맵' 본격 추진
  • 한국남부발전은 지난 17일 본사 대강당에서 ‘하동화력의 슬기로운 전환을 위한 에너지전환 TF 착수회의’를 개최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번 TF는 수명이 종료되는 하동화력발전소의 전환을 지원하고 탄소중립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구성됐다. 김준동 사장이 TF 리더를 맡았으며, △지역경제 지원 △인력전환 및 대외협력 △설비활용과 고용안정 △대체전원 개발 등 네 개의 핵심 분과가 협력해 전사적 역량을 결집할 계획이다.     김준동 남부발전 사장(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등 ‘하동화력의 슬기로운 에너지전환 TF 착수회의’  참석자들이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첫 회의에서는 하동화력의 기존 자원인 인력과 설비, 부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로드맵을 논의했으며, 지자체와 협력사와의 상생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또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속 가능한 대체 에너지 전환을 위해 다양한 의견이 교환됐다.   남부발전은 국내외 발전소의 전환 성공사례를 조사하고, 지자체 및 협력사와 소통을 위한 협력 창구를 개설해 실질적인 상생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부가 주관하는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의 논의 결과를 반영하며 정책 이행에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김준동 사장은 “석탄발전소가 우리 경제 발전에 기여해 온 만큼, 그 전환 과정에서 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통해 모두가 더 나은 미래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43
      209990_82269_522.jpg
    • 107
    • 오래 전
      2025.01.18
  • 오래 전
  • 정치적 불확실성 속 한국 에너지 정책의 도전과 미래 전략
  • 최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이 공개된 지 8개월이 지났지만,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계획의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국의 에너지 정책은 오랜 기간 정치적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아왔으며, 정권 교체, 단기 성과 중심의 정책, 사회적 갈등, 외교적 변수 등이 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민성 교수


    첫 번째 문제는 정권 교체에 따른 정책 일관성 부족이다. 지난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강력히 추진한 반면, 현 정부는 원전 확대 정책으로 급격히 방향을 전환했다. 이러한 변화는 에너지 산업계가 장기적 투자와 연구개발을 계획하는 데 어려움을 주며,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산업 모두에 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현재의 정치적 갈등 상황에서는 향후 정책 방향을 예측하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두 번째로, 단기 성과 위주의 정책이 문제다. 4~5년 주기의 선거로 인해 장기적인 에너지 전략보다 단기적 경제 효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전기요금 현실화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부담으로 이를 미루면, 에너지 소비 패턴 악화와 공기업 재정 부담이 가중된다. 이는 결국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세 번째로, 사회적 갈등과 이해관계 충돌이 정책 추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송전탑 건설이나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와 같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은 빈번하게 발생해왔다. 과학적 근거보다 정치적 논리가 정책을 좌우하는 상황에서는 문제 해결이 더욱 어려워진다.   마지막으로, 외교적 변수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에너지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며,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과 지정학적 갈등이 에너지 안보를 위협한다. 또한, 글로벌 환경 규범 준수와 무역 협정은 정책 결정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치적 안정성과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다. 초당적 협력과 법적·제도적 기반 확립은 정책 변동에 따른 혼란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공정한 보상 체계를 마련해 사회적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   미래에는 기술 발전과 국제 협력이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기술의 발전은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할 것이며, 글로벌 수소 경제와 차세대 원전 기술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무엇보다 탄소중립 흐름은 국제적 압력과 시장 변화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기업과 지방 정부는 국가 정책 변화와 무관하게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결국, 혼란을 극복하고 장기적 안목을 가진 정책이 자리 잡는다면 한국의 에너지 미래는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은 방향을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출처 : 투데이에너지(https://www.todayenergy.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46
      278846_149908_42.png
    • 106
    • 오래 전
      2025.01.17
  • 오래 전
  • SNT에너지, 사우디 SNT걸프 생산공장 2차 증설 완료
  • SNT에너지는 17일, 100% 자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 법인 SNT걸프의 생산공장 2차 증설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었다고 발표했다. 기념식은 사우디 담맘에서 현지 시간으로 16일 오후 2시에 개최되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 및 발전 산업 주요 관계자 12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SNT의 고위 관계자들이 SNT걸프 공장 2차 증설 기념식에서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이번 증설로 인해 SNT걸프의 생산 능력은 2012년 설립 당시와 비교해 무려 3배로 증가할 전망이다. SNT에너지 측은 "SNT걸프는 에어쿨러, 배열회수보일러(HRSG), 원자력 발전설비의 핵심 부품인 복수기(Condensor) 등 주요 발전설비의 생산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며, "사우디를 포함한 중동과 동유럽 지역에서의 사업 수주와 현지 수출 네트워크 강화를 적극 추진할 전략"이라고 전했다.   SNT걸프는 SNT에너지가 2012년 대한민국 석유화학 및 발전플랜트 설비 분야 최초로 사우디 현지에 설립한 해외 법인으로, 지역 특화 생산기지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해왔다.   SNT에너지 관계자는 "이번 증설을 통해 아람코의 에어쿨러뿐만 아니라, 사우디 에너지부가 추진 중인 발전공사용 HRSG 생산 능력도 확보했다"며, "HRSG의 현지화와 정부 조달청(LCGPA) 전략 구매 품목 등록을 통해 중동 지역 신규 원자력 및 복합화력 발전 플랜트 설비 수주를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증설을 기점으로 SNT걸프는 첨단 기술력과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에너지 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전망이다.

    출처 : https://www.ohmynews.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45
      IE003405802_PHT.jpg
    • 105
    • 오래 전
      2025.01.16
  • 오래 전
  •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AI 솔루션, 이제는 필수다
  • 지난주, 한국은 기록적인 한파로 얼어붙은 한강 위에 칼바람이 몰아치며 추위가 절정을 이뤘다. 반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는 세계 최대 가전·기술 박람회인 **'CES 2025'(1월 7일 ~ 10일)**가 뜨거운 관심 속에 열렸다. 특히 이번 CES의 중심 주제는 **'AI(인공지능)'**로, 기술이 우리의 일상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일 혹한의 추위에 함박눈까지 내리는 12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 지하도에서 거리홈리스이 종이 상자를 이부자리 삼아 추위를 피하고 있다.   기후위기가 심화되면서 에너지 복지 분야에서도 AI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파와 폭염 같은 극단적인 기후 현상이 빈번해지며 특히 취약계층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급등하는 전기·가스 요금에 더해, 기본적인 냉·난방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이들의 고통은 더욱 심각하다.   현재 정부는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원금의 상당 부분이 사용되지 않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오세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노인과 장애인의 에너지 바우처 미사용률은 **74.7%**에 달했다. 전체 바우처 미사용률도 2019년 **17.3%**에서 2023년 **38.6%**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지원대상이 늘어나면서 수요 예측이 어려워진 데 더해, 사용자 접근성 문제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독거노인과 장애인 가구는 지원금을 신청하거나 적절히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누군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무작정 아끼다 사용 기한을 놓치거나, 반대로 너무 빨리 소진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또한 농촌 지역에서는 LPG나 연탄을 직접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AI는 에너지 요금과 바우처 잔액을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날씨, 주거 환경,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냉난방 방법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후원기관이나 복지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지원 신청 시기를 알림으로써 신청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에너지 사용 습관을 개선하고, 복지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데이터 활용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기·가스 요금, 바우처 잔액과 같은 **'마이 에너지 데이터'**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의 스마트홈 AI 기술은 신축 주택과 고급 스마트 가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노후 주택에 거주하는 취약계층에게 적합한 기술 개발 및 연구 지원도 요구된다.   기후위기가 우리의 일상이 된 지금, 그 영향은 가장 취약한 계층에게 더 크게 다가오고 있다. 이들을 위한 AI 기반 에너지 복지 서비스가 도입된다면 에너지 빈곤 문제 해결과 더불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기술과 복지의 접점, 지금이 바로 시작할 때다.

    출처 : https://www.ohmynews.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54
      IE002747623_PHT.jpg
    • 104
    • 오래 전
      2025.01.15
  • 오래 전
  • 신재생에너지 업계, 새해 비전은 ‘확산과 안정’
  •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 새해를 맞아 비전과 협력을 다짐하다   2025년 1월 15일,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표하는 세 개의 주요 협회가 새로운 해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강남 SC컨벤션센터에서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한국풍력산업협회, 그리고 한국태양광산업협회가 주최한 **‘재생에너지인 신년인사회’**에는 약 10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재생에너지 산업의 발전 방향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재생에너지인 신년인사회에는 100여명이 참석해 새해 인사를 나눴다.


      이번 행사는 태양광과 풍력 등 무탄소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균형 있는 확산을 모색하고, 급변하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응해 국내 산업의 공급망 안정과 에너지 안보 강화를 도모하고자 기획됐다.   축사를 맡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24년은 재생에너지 체계적 확산의 기반을 확립한 중요한 해였다”고 평가하며, “2025년은 재생에너지 시장이 도약하며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재생에너지 확대와 공급망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피력했다.
    박종환 한국태양광산업협회 회장은 “2025년은 재생에너지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형근 한국풍력산업협회 회장은 “우리 업계가 더 크게 도약하기 위해 안정적인 제도적 기반이 필수적”이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적 역할을 요청했다. 또한, “풍력을 비롯한 재생에너지는 현재 과도기를 겪고 있지만, 그 속에서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신년인사회는 재생에너지 산업이 국내외 도전 과제를 극복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한 협력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업계는 이를 바탕으로 2025년을 성장과 도약의 해로 삼고,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흐름을 선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출처 : 에너지신문(https://www.energy-news.co.kr)
    • 친환경에너지연합
    • 47
      209842_82100_5054.jpg
    • 103
    • 오래 전
      2025.01.14
  • 오래 전
  • 한국·독일 에너지 석학들 서울 집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장기 투자 필수"
  •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독일 레오폴디나 한림원이 공동 주최하는 ‘제8회 한국·독일 한림원 공동심포지엄’이 오는 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성균관대학교에서 열린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으로, 태양광 에너지, 수소 에너지, 전력망 관리, 차세대 배터리, 미래 에너지 등 5개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최신 연구 성과와 도전 과제, 그리고 양국 간 협력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Germ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Leopoldina)은 오는 1월 14일부터 15일까지 서울 성균관대에서 ‘제8회 한국·독일한림원 공동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태양전지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성균관대학교 박남규 교수와 공정시스템공학의 저명한 학자이자 헬름홀츠 율리히 연구소 전 의장인 볼프강 마르쿼트 박사가 공동 조직위원장을 맡았다. 양국을 대표하는 22명의 석학이 참여하며, 각 분야별로 한국과 독일 과학자 4명이 주요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심포지엄 준비는 지난 2023년 6월 개최된 전 회차 심포지엄에서 글로벌 과학기술 과제와 양국의 연구 동향을 토대로 ‘에너지 전환’을 논의 주제로 선정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1년간 분야별 온라인 워크숍을 거쳐 심도 깊은 준비 과정을 밟아왔다. 심포지엄 마지막 날에는 종합 토론과 정책 제안서 작성이 이루어지며, 에너지 전환을 위한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을 위해 장기적 투자와 국제적 협력을 촉진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을 포함할 계획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독일 레오폴디나 한림원은 2012년 협력 협약을 체결한 후, 2013년부터 매년 공동심포지엄을 통해 과학기술 교류와 협력의 장을 마련해 왔다. 독일 레오폴디나 한림원은 8개의 지역 한림원을 대표하는 연방 기관으로, 1700여 명의 최고 연구자가 소속되어 있으며, 이 중 152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망 높은 기관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과 독일 양국의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기술 발전과 정책적 협력 방안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https://www.chosun.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39
      1.jpg
    • 102
    • 오래 전
      2025.01.13
  • 오래 전
  • "기후위기 해결, 원전이 답이다…축소계획 즉각 철회하라"
  • 정부가 야당의 요구에 따라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을 기존 4기에서 3기로 축소하기로 결정하자, 원전 축소가 국가 에너지 안보와 미래 경쟁력을 훼손한다며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울원전 5호   12일 한국원자력학회는 성명을 통해 "산업통상자원부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서 원전 건설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은 과학적 근거 대신 정치적 타협이 정책을 좌우하는 현실을 드러낸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해당 계획은 91명의 전문가가 총 87회의 집중 논의를 통해 확정한 것으로,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야당의 반대와 국회 보고 지연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을 조정해 국회에 보고했다. 이에 따라 오는 14일 국회 산자위 정책 조정회의에서 여야가 해당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조정안에는 2038년까지 대형 원전 1기 건설을 유보하는 내용이 포함되며, 부족한 전력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보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38년 원전의 전력 공급 비중은 기존 35.6%에서 35.1%로 줄고, 재생에너지 비중은 29.1%에서 29.2%로 소폭 늘어날 전망이다.   원자력학회는 이번 결정에 대해 △과학적 근거의 결여 △미래 전력수요 증가에 대한 대비 부족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을 지적하며, 원전 축소는 국가적 손실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전 세계가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 성장 전략으로 원자력 활용을 확대하는 상황에서 이를 거스르는 것은 "미래를 포기하는 행위"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기복 원자력학회 회장은 "AI와 반도체 같은 첨단 산업은 막대한 전력을 요구한다"면서 "저렴하고 안정적인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원전 없이 국가 경제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신규 원전 축소는 단기적 논란을 피하려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며, 전력 수급 안정성과 산업경쟁력을 위협하는 결정"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원전 축소 계획이 지속될 경우, 유럽처럼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 공급 불안과 급등하는 전기요금 문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균형 잡힌 에너지 정책 수립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전력 수급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출처 : https://news.nate.com/
    • 친환경에너지연합
    • 47
      20250110152111484490.webp

검색

게시물 검색